[일반] 의상학과 제로웨이스트 패션 전시<0%> 성료
- 의상학과
- 조회수223
- 2025-06-30
의상학과 제로웨이스트 패션 전시<0%> 성료
지난 6/16 ~ 6/18 성균갤러리에서 열린 의상학과 제로웨이스트 패션 전시<0%>가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이번 전시는 식물성 부산물을 활용한 친환경 소재 개발사와 의상학과의 산학협력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의 결과물로 이루어졌다. 임은혁 교수의 지도 아래 재단 시 잔단(offcuts)을 최소화하는 제로웨이스트 패턴메이킹(Zero-Waste Pattern Making, ZWPM)을 통한 창의적인 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비건 레더라는 친환경 소재를 협찬받아 실용적이면서도 실험적인 디자인 방법론을 통해 제로웨이스트 패턴커팅, 폴딩, 모듈러 커팅, 서브트랙션 커팅 등을 적용하여 잔단을 최소화했으며, 제작 과정에서 발생한 잔단마저도 위빙(weaving) 샘플로 개발하며 말 그대로‘제로웨이스트’를 구현하고자 했다.
전시 오프닝에서 학생 대표는, “패션은 끊임없이 새로움을 선보이므로, ‘지속가능한 패션’이라는 말은 자체에 모순을 담고 있다. 아마도 패션은 환경 문제를 영원히 해결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우리는 감히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 아니라, 중요한 고민을 시작하고 그것을 디자인이라는 매체를 통해 나누고 싶었다”고 전했다.
학생들은 20여 벌의 시제품과 함께, 룩북 이미지, 디자인프로세스 보드, 머슬린으로 테스팅한 프로토타입인 트왈(toile)도 전시했으며, 치열하게 보낸 지난 학기를 담은 메이킹 오브 필름까지 상영하여 전시장을 가득 채웠다. 산학협력업체 그린컨티뉴는 우수 작품들을 선정하여 시상했는데 수상자들에게는 소정의 상금이 수여된다.
지도교수 인사말에서 임은혁 교수는“‘지속가능하다’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도 유지될 수 있다는 뜻을 지니며, ‘패션’은 유행과 변화, 끊임없는 새로움을 추구하는 개념이다. 이 상반된 개념이 결합된‘지속가능한 패션’은 모순어(oxymoron)라 할 수 있다. 동시에, 패션은 대중과의 긴밀한 접점 위에서 메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강력한 매체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패션이야말로 지속가능성에 대한 문제의식을 드러내고 대화를 이끌어갈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이번 제로웨이스트 패션디자인 프로젝트는‘지속가능한 패션’이라는 질문에 대해 학생들이 깊이 고민하고 창의적으로 응답한 결과물이다. 학생들은 제로웨이스트 패턴메이킹이라는 실천적인 디자인 방법론을 중심으로, 스타일 제안이 아닌 실질적인 해결책을 모색했다. 친환경을 넘어, 그린워싱(greenwashing)을 경계하며 책임 있는 패션디자인(responsible fashion design)을 구현하고자 노력했다. 본 프로젝트에서 학생들은 산업적 현실 속에서 창의적이며 책임감 있는 패션 전문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 전시를 통해 이들이 던진 질문과 시도들이 더 많은 이들에게 영감과 대화의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이에 덧붙여 임은혁 교수는, 본 프로젝트는 패션 커리큘럼에서 피상적으로 다뤄지거나 주변화되었던 지속가능성의 문제를 직시하고, 이에 섣불리 접근하기보다는 그 모순과 한계를 인정하는 것에서 시작하였다고 했다. 이는 지속가능한 패션이 내포한 모순을 수용하고, 그 대안으로, 투명성, 책임감, 그리고 존중을 바탕으로 한 패션 생태계를 만들기 위한 공동 책임과 의도적인 선택을 의미하는‘책임 있는 패션(responsible fashion)’을 향한 첫걸음이라 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총장님께서도 전시에 방문하시어 학생들에게 아낌없는 칭찬과 격려를 해 주셨다. 더불어 이번 전시를 관람하고 그 취지에 공감하여 새로운 기업에서 산학협력 프로젝트와 실질적인 지원을 제안하였다고 한다.
- 다음글
- 다음글이 없습니다.